2021. 4. 7. 12:13ㆍ카테고리 없음
안녕하세요, 매거진 경제의 숲 편집장Y 입니다.
스타벅스는 2021년 4월 6일 보도자료를 통해 2025년까지의 지속가능성 중장기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내용중에 저에게 관심이 가는 내용은 탄소배출 30%감축 입니다. 세계적으로 모든 기업들이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스타벅스 코리아에서도 목표치를 정하고 실행하고자 하는 모습입니다.

첫번째 액션플랜은 리유저블 컵 사용 도입 입니다. 올 하반기중 시범매장을 선정하며, 2025년까지 전체 매장 도입 및 일회용컵 0% 사용 도전이 목표 입니다. 0%가 아니라 0%사용 도전 이군요.
시범매장은 제주지역 매장이 검토되고 있다고 합니다. 해당 시범 매장에서는 일회용컵을 대신해 일정 금액의 보증금이 있는 리유저블컵을 고객에게 제공하게 되며(보증금은 1,000원) 사용하고 난 컵은 리유저블컵 운영 매장의 무인 반납기 등을 통해 반납하면, 보증금이 반환되는 형태로 운영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두번째, 동물성 우유 대신 식물성 우유 사용(오트밀크)를 선택 옵션으로 도입해 운영 예정
세번째, 식물기반 음료 및 푸드 제품과 대체육 원재료 등 지속 개발
네번째, 우리 농산물을 활용한 신제품 음료 5종 출시를 목표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매년 개발 범위를 늘려, 2025년도 에는 최대 10종까지 확대해 나갈 방침
다섯번째, LEED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 GSEED(Green Standard for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등의 국내외 인증을 받은 친환경 컨셉 매장을 적극 도입친환경 컨셉 매장을 적극 도입
여섯번째, 소비전력 효율 개선 제품 및 대기전력 저감장비 도입 등을 전국매장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
일곱번째, 올해 서울지역에 전기배송트럭 도입을 시작으로 2024년부터는 전국의 스타벅스 물류배송 트럭을 친환경 전 기트럭으로 확대 변경
*편집자의 의견
1.탄소배출 저감을 생각하면 보통은 전기차 사용, 에너지 소비 줄이기 등을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식품쪽으로 눈을 돌려보면 할 수 있는 일이 좀 더 많아 집니다. 우리가 먹는 여러가지 식품이 길러지고 가공되어 우리 식탁에 오기까지 많은 탄소가 배출되기 때문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르는데에 많은 탄소가 배출되는 동물 대신에 식물이 좋으며, 멀리서 배송되는 식품보다는 우리지역 가까운 곳에서 배송되는 우리 농산물이 좋습니다. 스타벅스와 같은 글로벌 식음료 회사가 매장이 있는 현지의 원료를 사용하고 제품을 출시하는 것은 어쩌면 이상한 일 같지만 앞으로는 더욱 더 확대될 제품군으로 보이며, 글로벌 표준화 되어있는 여러 회사들에게는 숙제 이기도 합니다.
2. LEED란?
: LEED는 전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친환경 건물 등급제 인증 프로그램입니다. 비영리 단체인 USGBC(미국그린빌딩위원회)에서 개발했습니다.
LEED 등급 시스템은 상업용 건물, 주택, 이웃, 소매점, 의료 및 학교를 포함한 다양한 건물 유형은 물론 설계, 건설, 운영 및 유지 보수를 포함한 건물 라이프 사이클의 모든 단계를 다룹니다. 프로젝트는 등급 시스템 내에서 주어진 수의 포인트 기반 크레딧을 획득하여 4 가지 레벨의 LEED 인증 (Certified, Silver, Gold 또는 Platinum) 중 하나를 획득 할 수 있습니다.
3. G-SEED란?
: 설계와 시공 유지, 관리 등 전 과정에 걸쳐 에너지 절약 및 환경오염 저감에 기여한 건축물에 대한 친환경 건축물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또한, 지속 가능한 개발의 실현을 목표로 인간과 자연이 서로 친화하며 공생할 수 있도록 계획된 건축물의 입지, 자재선정 및 시공, 유지관리, 폐기 등 건축의 전 생애(Life Cycle)를 대상으로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건축물의 환경성능을 인증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국내 인증이며, 등급은 그린1등급(최우수) ~ 그린4등급(일반) 까지 있습니다.
4. 전기배송트럭은 스타벅스와는 별개로 어떠한 물류 분야이든 지속 확대 될 것입니다. 국내에서는 1톤 트럭에서 부터 전기트럭이 개발되어 시판 중이며, 점차 더 큰 중량의 트럭이 개발되어 보급될 것으로 생각 됩니다. 현대차는 중형마이티 전기트럭도 개발하여 우체국 물류지원단과 '마이티 전기차 우편물류 운송차량 실증사업 업무협약(MOU)'를 체결하고 7월 부터 1년간 시범운영할 계획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