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
-
기아의 미래 전략 - EV, PBV, 친환경 모빌리티 서비스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아의 미래 전략을 살펴 보겠습니다. 기아는 사명과 브랜드 로고를 올해 초 바꾸었으며, 지난 2월 9일 Investor Day를 통해서 미래 전략을 발표 했습니다. Investor Day에서 발표된 주요 내용을 살펴 보겠습니다. 인베스터 데이를 통해 밝힌 미래 전략에는 크게 3가지 부분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EV(전기차)의 대중화 이며, 두번째는 PBV개발을 통한 새로운 수요 대응, 세번째는 친환경 모빌리티 서비스 확대 입니다. 최근의 사회적 경향이 반영된 기아의 대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기차 전용플랫폼, 디지털서비스 발전, 자율주행 발전 등으로 기존 자동차 산업이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 세가지의 큰 발전 흐름에 따라 기업과 사회도 움직이고 있습니다. EV 전기차 ..
2021.05.26 -
RE100
안녕하세요, 매거진 경제의 숲 편집장Y 입니다. 오늘은 RE100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E100은 100 % 재생 가능 전기로의 전환을 주도하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기업을 모으는 글로벌 이니셔티브입니다. RE100은 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 100%의 약자로 기업이 2050년까지 사용전력량의 100%를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조달하겠다는 것을 뜻합니다. 이 것은 영국 런던소재 다국적 비영리기구 '더 클라이밋 그룹(The Climate Group)이 2014년 시작 했으며, 현재 전세계 약 300개 기업이 가입했습니다. *RE100 회원이 되기 위한 요건 1. 100 % 재생 가능 전기를 달성하려면 기업은 전 세계 사업장에서 사용되는 전기의 100 %를 재생 가능 자원에서 생산 된 ..
2021.04.17 -
세계 최초의 전기 픽업트럭 양산회사 Rivian(리비안)
안녕하세요, 매거진 경제의 숲 편집장Y 입니다. 오늘은 새로운 전기자동차 회사 리비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비안 전기자동차가 부각을 받는 이유는 세계 최초의 전기 픽업트럭 양산회사로 기록 될 예정이기 때문입니다. 미국 등의 나라에서는 픽업트럭의 인기가 승용차나 SUV보다도 인기가 많은 만큼 거대한 시장에 새로운 기록을 써 나갈 것으로 예상 됩니다. 리비안은 2009년에 설립되어 지속가능한 운송 서비스 및 차량을 개발하는 회사 입니다. 본사는 미시간주 플리머스에 있습니다. 이 곳은 예전부터 자동차로 유명한 도시인 디트로이트와 가까운 곳에 있습니다. 생산은 일리노이주 노멀에서 이루어 지며, 공장은 새로 지은 것이 아닌 미쓰비시가 가지고 있던 것을 2017년 인수 한 것입니다. 차량의 컨셉트카는 2018년..
2021.04.14 -
NFT (Non-fungible token) 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매거진 경제의 숲 편집장Y 입니다. 오늘은 NFT (Non-fungible toke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 말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 불리우는 NFT는 블록체인 암호화 기술을 활용해 그림파일이나 오디오, 동영상 등 콘텐츠에 고유한 표식(디지털 원장)을 부여하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이제는 예술, 음악, 스포츠 및 기타 인기있는 엔터테인먼트에서 디지털 자산 을 상품화 하는 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작품의 진품을 인증하기 때문에 희소가치가 생기고 시장가격이 형성되는 것입니다. NFT의 생성과 발행에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상에서 발행되는 ERC(Ethereum Request for Comment)-721이라는 프레임워크가 널리 사용됩니다. 반면 암호화폐 개념의 코인들은 ERC-20 ..
2021.04.13 -
자동차 구독경제와 새로운 서비스의 등장
안녕하세요, 매거진 경제의 숲 편집장Y 입니다. 오늘은 자동차 구독경제와 함께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서비스에 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우리 사회는 점차 구독경제가 활성화 되어 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구독이라 하면 잡지나 신문 등을 매월 구독료를 내고 보는 것을 떠올렸습니다. 매일 사거나 매달 사는 것이 번거로우니 월 단위로 혹은 연단위로 구매하는 것 입니다. 우유나 건강식품 같은 식품도 매일 또는 주기적으로 먹기위해 구독을 합니다. 최근에는 이러한 경향에서 확장되어 보다 많은 제품과 서비스가 구독경제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주로 렌탈이라는 용어가 쓰이던 업종에서 이제는 구독이라는 용어로 바뀐 요즘입니다. 대표적인 렌탈 업종은 정수기와 프린터 등 주로 가정용보다는 업소용으로 이용되던 품목 들이었습니다...
2021.04.12 -
미국의 반도체 산업
미국은 최근의 반도체 공급 부족 사태를 국가안보 이슈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 미국 내에 제조시설을 갖추고 있는 반도체기업들의 생산량을 압박하면서 장기적으로는 자국 반도체 기업 육성을 꾀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은 1990년대 반도체 생산이 전 세계 분량의 37% 정도 였으나, 현재는 13% 정도 입니다. 최근의 미국 반도체 산업 관련 주요 움직임 *바이든정부 : 인프라스트럭처 부양안 발표 중 반도체 분야 500억달러 배정 2024년까지 투자 비용의 40%까지 세액공제 *마이크론 : 2021년 3월 22일 일본 키옥시아 인수를 추진한다는 보도 나옴 *인텔 : 2021년 3월 23일 미국 애니조나주에 파운드리 공장 2곳의 증설계획 발표 (200억달러 투자) 최근의 정부의 반도체에 관한 투자결정은 미..
2021.04.11